메인으로 돌아가기
01

사업의 종류에 대하여 이해하자

  • 기본적으로는 '창업 - 사업 - 경영 - 기업'의 구도임
  • 창업과 사업은 진출성에서 차이가 남
  • 스타트업은 기본적으로 완벽한 시작이 어렵고 일정한 기간 이후에 키를 그리는 것임
  • 새로운 기술이 나왔을 때 활발하게 작용됨
02

사업을 왜 하려고 하는지(WHY) 분명히 하기

  • 기본적으로 사업은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도전하는 것
  • 토스의 경우에 단순 송금으로, 마켓컬리는 새벽배송으로, 옥션은 오픈마켓으로 시작
  • 미션(MISSION)으로 어떠한 세상을 만들겠다는 비전(VISION)이 분명해야 함
03

스타트업의 출발은 첫 번째 질문으로 시작

  •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창의적이어야 함
  • 기술 장벽과 시장 침투에서 승부가 갈라짐
  • 지속적으로 피봇과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음
04

초기에 창업팀의 구성이 중요하다

  • 초기에 같은 뜻을 가진 동지들끼리 모여 사업을 시작할 때 가장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은 직장 동료들끼리 하는 것
  • 초기부터 창업 동지들끼리 역할 분담이 잘 되어 있어야 오래 지속됨
  • 그러나 결국 헤어지는 경우가 많음
05

사업의 방식은 크게 두 가지

  • INNOVATION: 기존 제품이나 서비스의 문제를 혁신하여 고객 만족
  • INVENTION: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새로운 방식으로 만들어 경험 제공
  • AI 등 새로운 기술이 나오면 기존 난제가 해결됨
06

창업의 진정한 시작은 BASE CAMP 구축 후

  • 베이스캠프: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매출과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CASHCOW 확보
  • 이를 위해 PIVOTING이나 새로운 시도, MVP를 통한 시장 테스트 필요
  • 이 단계에서 경쟁자가 나올 수 있으므로 투자 유치가 필요
07

투자 유치는 회사를 키우기 위한 것

  • 투자 유치 시 경영권보다는 회사 성장에 중점을 둬야 함
  • 한국에서는 전략적 투자(SI)가 성공하는 경우가 드묾
  • 시리즈 A 투자 후 무너지는 경우가 많은데, 투자금으로 억눌렀던 욕망을 해소하는 데서 비롯됨
08

사업의 변하지 않는 본질

  • B2C: 고객의 행복이 목적
  • B2B: 상대방 사업의 성공이 목적
  • 전 직원이 고객을 향해 활동하고, 리더의 모든 잣대는 고객 중심이어야 함
09

AI는 이제 모든 분야의 상수

  • 2016년부터 본격화한 AI 시대는 챗봇 등 B2B 분야에 적용
  • 2022년 11월 30일 ChatGPT 등장으로 모든 분야에 혁신 발생
  • Shopping Agent, Physical AI 등의 등장으로 스타트업에 새로운 기회 열림
10

회사 성장에 외부 전문가 영입은 필수

  • 성장에 따른 외부 전문가 영입은 불가피하며, 이로 인한 갈등도 자연스러움
  • 영입 시 책임 한계와 보고 체계를 명확히 해야 함
  • 창업자들은 주식 소유로 보상받고 유능한 전문가로 역할 전환이 필요
11

직원 평가는 TEAMWORK가 최우선

  • 업무 능력이 좋아도 협조나 팀워크에 문제가 있다면 장기적으로 함께하기 어려움
  • 직원 활동의 두 축: UPDATE와 FEEDBACK
  • 아이디어 성과주의와 수평적 질서로 자유로운 분위기 조성
12

수익 모델 완성이 사업 성공의 열쇠

안정적 수익 창출 방법은 사업 시작부터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함

수익 모델의 세 가지 방식:
  1. 자사 제품/플랫폼에서 직접 수익
  2. 상대방 용역을 받아 수익 창출
  3. 연결 플랫폼으로 이익 공유

가격 책정 시스템과 다양한 수익화 방법이 승패를 결정

13

사업가는 사람을 모으는 능력이 핵심

  • 인재와 함께해야 사업이 성장함
  • 직원 유형을 파악하기: 인포메이션형 vs 인텔리전스형
  • 공신과 우군을 만들고 성장 기회를 제공하여 동기부여
14

사업가의 세 가지 유형

  • 예술가형: 자신의 신념과 기술을 고집하며 한 분야에 장기간 집중
  • 개발자형: 가능성 있는 분야를 발견하면 계속 개발하여 집중력 분산
  • 고객지향형: 시장 니즈를 관찰하여 맞춤형 솔루션 제공
15

사업은 '착안대국 착수소국'의 자세로

  • 큰 비전을 가지되 일상적인 실행에 집중
  • 오늘과 이번 주의 할 일에 집중하여 일관성 유지
  • 야구에서처럼 기본에 충실하고 무리한 성과를 쫓지 말 것
16

사업 발전의 두 축: 진보와 진화

  • 진보: 목적성과 방향성을 갖고 사업 규모를 키우며 초격차 추구
  • 진화: 환경과 기술 변화에 적응하는 적자생존 방식
  • 두 개념을 적절히 조화시켜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성장
17

본투글로벌 전략의 중요성

  • 국내 시장은 축소되고 규제가 심화되는 환경
  •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와 영어 소통 능력 확보
  • 정부와 지자체 해외 진출 프로그램 적극 활용
18

투명성과 신뢰는 사업의 기본

  • 재무적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원칙 필요
  • 투명성 부족은 내부 배신자를 만들고 10배의 손실 초래
  • "사업 실패는 재도전 가능하지만 윤리 실패는 재기 불가능"
19

형이상학적 신념과 철학의 중요성

  • 절대 양보할 수 없는 핵심 가치가 있을 때 지지자가 모임
  • 회사 문화의 근간이 되는 확고한 원칙 필요
  • 진실을 말하는 사람들과 함께하며 원칙을 지키기
20

큰 꿈이 더 많은 기회를 가져옴

  • 업계 최고를 목표로 할 때 행동이 달라짐
  • 큰 꿈과 작은 꿈의 차이가 역사적 인물들의 성패를 가름
  • 큰 목표는 더 넓은 네트워크와 기회의 창을 열어줌
21

CEO는 끊임없이 학습해야

  • 모른다는 말 대신 항상 배우는 자세 유지
  • 경영과 전문성을 겸비해야 투자자 설득 가능
  • 조찬 모임, 세미나, 독서 등을 통한 지속적 자기계발
22

이타경영의 철학 추구

  • 베풀고 나누는 이타적 삶이 사업가의 사명
  • 이기적인 사람을 식별하고 멀리하는 안목 필요
  • 리더는 마지막에 가져가며 사회, 직원, 고객을 우선시
23

사업은 등산이 아닌 여행

  • 사업에는 성장은 있어도 완전한 성공은 없음
  • 여정 자체에서 기쁨을 찾는 것이 사업가의 행복
  •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내공이 쌓이고 성장함